본문 바로가기
재태크/IPO 참고

'환매청구권'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돈보따리 2022. 8. 24.
반응형
매월 IPO를 통해 많은 종목이 신규상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청약에 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종목이 상장일 또는 상장초기 급등 후 하락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때 손실을 보상해줄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좋은 정책인데요. 환매청구권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환매청구권은 공모주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할 경우 공모가의 90%를 환불받을 수 있어 손실을 -10%까지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원금보장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환매청구권이란?

환매청구권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는 청약을 통해 배정받은 주식이 상장 후 일정 기간(최대 6개월) 동안 주가가 공모가 보다 하락하면 인수회사(대부분 증권사)를 상대로 청약받았던 주식을 다시 사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환매청구권이 투자자의 부담이 줄여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원금 100%를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라, 보통 공모가의 90%를 보장해 줍니다. 이에 따라 공모가가 1만원인 주식의 경우 환매 받을 수 있는 가격은 9,000원입니다.

■ 환매청구권 환산가격?

해당 경우의 계산식은 
공모가의 90% × {1.1 +(환매청구권 행사일 전일의 코스닥지수 - 상장일 직전 거래일의 코스닥지수)÷상장일 직전 거래일의 코스닥지수}
입니다.
예를 들어 상장 전날 코스닥이 900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하고, 2개월 뒤 800포인트를 기록한 상태에서 다음날 환매청구를 신청했다면, 환매가격은 9,000원 X {1.1+(800-900)÷900}인 8,910원입니다.

■ 환매청구권 청구권자?

환매청구권의 경우 일반투자자만 환매청구가 가능하며, 기관투자자의 경우에는 환매청구권을 행사 할 수 없습니다.
이떄 IPO를 통해 입고된 주식에 대해서만 환매청구권이 적용되고, 장중에 매도 후 재매수를 했다면 환매청구권이 상실되었다고 보아야 합니다.

■ 환매청구권 확인방법?

환매청구권이 있는 공모주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금융감독원 전자시스템'에 들어가면 해당 공모회사 증권신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 내용에 환매청구권 여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신고서 내에서 내용을 찾기 어려우면 키보드 'CTRL' + 'F' 함께 눌러 "찾기" 기능을 이용해서 찾으면 쉽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시스템
[환매청구권 미부여]
[환매청구권 부여]

환매청구권이 있더라도 주가에 대한 단순 비교가 아니기 때문에 고민이 많아집니다. 
결론은 IPO 청약시 종목을 잘 선별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